Root

Computer/Server

[Server] 📚 hostname 사용하는 이유 / hostname 변경

Hostname을 사용하는 이유? 불변성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hostname을 변경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같은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접근성 IP처럼 숫자로 이루어진 조합보다는 우리가 익숙한 영어와 같은 문자열이 더욱 기억하기 쉽다. 효율성 하나의 hostname에 여러 IP를 할당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서버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고, 클라이언트와 가까운 서버를 선택하게 해주어 지연율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별 맞춤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편리성 하나의 IP에 여러 hostname을 할당하여 편리함을 추가한다. Hostname 확인 방법 hostname Hostname 변경 방법 # CentOS6 vi /etc/sysconfig/network HOSTNAME=myhost # C..

Computer/Server

[Linux] 📚 CentOS iso DVD, Everything, Minimal

차이점 CentOS나 다른 linux들에서 iso 파일을 다운 받을 때 여러가지 종류가 많습니다. 제목에서 말씀드린대로 세 가지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Minimal 최소의 패키지만 설치가 됩니다. 그러므로 필요한 패키지는 본인이 직접 다운받아 사용해야 하므로, 귀찮을 수 있지만, 스토리지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효율적입니다. linux 환경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스토리지가 부족하며, 최대한의 효율을 내야 할 때 ❁ DVD 최소의 패키지 + 일반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할 때 어떤 것들을 설치할지 선택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입니다. (일반적, 보통, 평균 이라는 말들은 평범하면서도 가장 추천하는 것들이죠) ❁ Everything OS에 필요한 패키지들이 모..

Computer/Git

[Git] 📚 BaekjoonHub / 백준허브 / 자동커밋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1일1커밋 / 알고리즘 / 리트허브

알고리즘 공부를 하면 자동으로 커밋을 해준다?!?! 리트허브를 기반으로 한 백준허브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저희는 기존에 알고리즘 공부를 하기 위해서 백준, 프로그래머스, 리트코드 등 여러가지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공부도 하고 싶고, 공부한 것을 기록도 하고 싶고, 깃허브 잔디도 채우고 싶다.. 라는 생각을 하고 계실텐데요! 백준, 프로그래머스 등의 플랫폼에서 코딩만 해도 깃허브에 자동으로 커밋이 되는 백준허브를 사용해봅시다! (확장 프로그램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크롬 웹 스토어에서 백준허브를 검색 후 설치해줍니다!! 오른쪽 상단에 퍼즐모양을 누르시게 되면 백준허브가 나오게 될건데 글자 부분을 클릭해줍니다. Authenticate를 눌러줍시다. 그럼 깃허브 홈페이지로 이동이 되는데 로그인하고 a..

Computer/Front-End

[Encoding] 📚 BOM (Byte Order Mark)

BOM 바이트 순서 표시 (Byte Order Mark) 는 유니코드 문자로, 매직 넘버로서 문서의 가장 앞에 추가하여 텍스트를 읽는 프로그램에 여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BOM을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할 경우 문서의 가장 앞에 등장해야 한다. BOM의 바이트열은 유니코드 인코딩마다 다르며, 이들이 다른 인코딩으로 저장된 문서의 가장 앞에 등장할 가능성은 적다. 그러므로, 문서의 가장 앞에 인코딩된 BOM을 추가함으로써 텍스트가 유니코드임을 나타내고 그 인코딩 방식을 명시할 수 있다. UTF-8 BOM의 UTF-8 표현은 바이트열인 0xEF, 0xBB, 0xBF 이다. 유니코드 표준은 UTF-8에 BOM을 허용하지만, 이는 필수가 아니며 권장 사항도 아니다. UTF-8에서 바이트 순서는 ..

Computer/Git

[Git] 📚 git push -u / 명령어 / 깃 커맨드 / command / option / 푸쉬 옵션

git push -u origin main 이런 커맨드를 보신 적이 있으실겁니다. 근데! -u 를 넣지 않아도 잘 작동합니다. -u는 대체 뭘까!? 라고 생각하신 분들을 위한 글!! 저는 보통 git push origin main 만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u 라는 옵션을 붙이게 된다면? 디폴트로 main 으로 푸쉬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한 번 git push -u origin spoonme 라고 했다고 합시다!! 그러면 앞으로는 자동으로 spoonme가 원격저장소로 등록이 되어 git push 만을 입력하더라도 spoonme 라는 브랜치로 푸쉬가 됩니다. (pull 도 동일합니다.)

SpoonMe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